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ETF 리포트

ETF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알려드립니다.

SPOT 뷰
링크가 복사 되었습니다.

[PLUS 차이나AI테크TOP10 ETF] 중국을 리드하는 AI테크 기업 1편: 전기차/가전AI&게임/디지털엔터

2025.05.12

중국을 리드하는 AI테크 기업


AI(인공지능)는 전 세계 테크 산업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자리잡고있습니다. 흔히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이 이 시장을 선도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중국의 주요 AI 기업들은 이미 독자적인 기술력과 시장 경쟁력을 바탕으로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글로벌 AI 산업의 양대축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AI 산업의 양대축 중 중국의 AI 산업을 이끄는 10개의 기업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컨텐츠에서는 중국의 AI산업을 이끄는 AI 테크 TOP10 기업을 총 5개의 카테고리로 나눠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로벌 AI의 다음 챕터, 함께 준비해보시죠.


저희는 중국의 AI를 이끄는 TOP10 종목들을 총 5개의 카테고리로 구분하였습니다.


먼저 1) 전기차/가전AI분야‘BYD’샤오미, 두번째로 이커머스/플랫폼알리바바, 진동닷컴, 그리고 메이퇀, 세번째는 게임/디지털엔터텐센트넷이즈’, 네번째는 반도체&IT’ 분야의 ‘SMIC’ 레노버’, 마지막으로 인터넷플랫폼 분야의 바이두 입니다.


이번 컨텐츠에서는 최근 가장 화재를 불러모으고 있는 중국의 전기차/가전AI’ 분야의 두 기업, ‘BYD’샤오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중국의 대표 게임/디지털엔터기업인 텐센트넷이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기차/가전AI’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판도를 바꾸는 BYD : 중국을 넘어 세계로

중국 전기차 산업의 대표주자인 BYD는 이제 테슬라를 위협하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강자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BYD는 전기차(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장에서 압도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특히 전기차 판매량 기준으로는 이미 테슬라를 넘어선 상황으로 향후 2~3년 안에 확실한 글로벌 넘버원이 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죠. 배터리와 반도체 등 핵심 전장부품 내재화로 자체적인 생산라인이 확보된 수직계열화에 성공하여 원가경쟁력 및 공급망 안정성에 있어서 다른 완성차 브랜드와 차별화되는 강점을 갖고 있는 기업입니다.

 

- BYD, 테슬라를 위협하다

BYD 2025년 전기차(BEV) 판매 점유율에서 15.7%, 테슬라(15.3%)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기업의 위상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수치입니다. 특히, BYD 2023년 하반기부터 BEV 판매량에서 테슬라를 앞서기 시작했으며, 점차 점유율 격차를 더욱 벌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에는 BYD와 테슬라가 글로벌 전기차(BEV) 시장을 양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BYD의 사업 구조 및 주요 성장 동력

(1) 자동차 사업(BYD Auto) :

2024년 기준 전체 자동차 부문 매출 비중이 전사의 약 79.4%에 달하고 있는데, 순수 전기차(BEV)와 하이브리드(PHEV) 모두에서 강세를 보이며, 다양한 라인업과 가격 경쟁력으로 유럽, 남미, 동남아 등 해외 수출을 통한 시장 확대를 진행중입니다.

(2) 배터리 사업 :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중심의 생산과 토브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 배터리 내재화에 성공하면서 수직계열화를 완료하였습니다 CATL에 이어 글로벌 2위 배터리 생산 규모를 자랑하고 있을만큼 배터리 사업 역시 순항하고 있습니다.

(3) 전장 및 기타 사업 :

차량용 반도체(전력 반도체 포함)와 차량용 MCU 등 핵심 부품을 자체 설계·생산하여 반도체 분야까지 수직 계열화에 성공, 전기 밸류체인의 가장 큰 축인 완성차, 배터리, 반도체 모두를 내재화하여 경쟁력을 확보하였습니다.

 

- 글로벌 시장 점유율과 기술 경쟁력

BYD 2024년 전기차(BEV+PHEV) 인도량 기준 점유율 23.6%, 2위 테슬라(10.2%)와 큰 격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이 격차는 더욱 벌어질 전망이다. 특히, BYD블레이드 배터리로 대표되는 배터리 기술 혁신과 ‘e-플랫폼 3.0’을 통한 차량 경량화, 모듈화, 효율성 극대화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어요.

 

BYD의 미래 전략과 글로벌 확장

BYD는 내수 시장을 넘어 유럽, 동남아, 남미 등 글로벌 시장으로 공격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2024년 기준 60개국 이상에 진출했으며, 유럽에서는 현지 생산 공장 설립도 추진 중입니다. 또한, ‘God’s Eye’로 불리는 자율주행 플랫폼 등 첨단 IC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카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어, 완성차뿐아니라 차량 서비스 분야에서도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BYD의 핵심 투자 키포인트 정리

(1) 테슬라를 넘어서고 있는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

2023~2024 BYD BEV+PHEV 판매량 기준 세계 1위를 차지했고, 2025년에는 BEV 단독 점유율에서도 테슬라를 앞설 것이란 전망이 나올 만큼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내수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과 급속한 해외 확장 전략이 큰 힘이 되고 있어요.

(2) 독보적인 수직계열화 모델

BYD는 배터리, 반도체, 차량 제조까지 대부분의 밸류체인을 수직계열화하여 가격 경쟁력은 물론, 공급망 리스크 회피, 기술 독립성 측면에서도 큰 장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결국 다양한 가격대의 차량을 유연하게 출시할 수 있는 기반이 되어 주고 있어요.

(3) 해외 시장 확대 및 현지화 전략

유럽 현지 생산시설(헝가리 공장 등) 설립 계획 중이며, 일본, 태국, 브라질 등 아시아 및 남미 시장에도 진출 강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중 갈등으로 북미 진출은 다소 제한적이지만, 정치 리스크를 피해 다양한 지역으로 확장 중이에요.

 

 

중국의 애플에서 글로벌로 도약중인 샤오미

가성비스마트폰으로 글로벌 시장에 알려진 샤오미는 다양한 전자제품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중국의 애플이라 불려왔습니다. 최근에는 AIoT와 전기차까지 손을 뻗으면서 애플+테슬라의 모델을 꿈구고 있는 중국의 대표 테크 기업입니다. 최근에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까지 진출하여 점차 글로벌 존재감을 높이고 있고, 전기차 SU7을 통해 테슬라와의 직접경쟁을 시작하면서 몸집을 키우고 있습니다. 샤오미는 [사람-자동차-] 생태계를 앞세워 스마트 디바이스와 모빌리티, AI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성장 스토리를 만들어가고 있는 기업입니다.

 

- 전기차 시장의 떠오르는 다크호스, SU7의 흥행 돌풍

샤오미는 2021년 전기차 사업 진출을 선언한 뒤, 2024 3월 첫 전기차 ‘SU7’을 출시해 중국 BEV(배터리 전기차) 세단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켰습니다. SU7은 출시 후 27분 만에 5만 건 이상의 주문을 받았고, 119일 만에 20만 대 출고라는 엄청난 기록을 세웠는데요, SU7 울트라 모델은 제로백 1.98, 최고속도 350km/h로 포르쉐를 능가하는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2025년에는 두 번째 모델 ‘YU7’도 출시 예정인데, 2025년 전기차 판매 목표는 35만 대로 상향 조정되었고, 베이징에 연간 30만 대 생산이 가능한 공장도 건설 중인 상황입니다. 인도, 동남아, 남미 등 현지화 전략 및 브랜드 확장도 진행 중입니다.


- 샤오미의 사업 구조 및 주요 성장 동력

(1) 스마트폰 부문

샤오미는 기존 중저가 라인의 스마트폰에서 프리미엄 라인까지 빠르게 제품군을 확장중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삼성전자, 애플에 이어 글로벌 점유율 3위를 기록중입니다. 최근만 보아도 2019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9%에서 202415%로 꾸준하게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부문은 전사 매출의 60%를 차지할 만큼 샤오미에게는 캐시카우 역할을 해주고 있습니다.

(2) AIoT (AI + IoT) 부문

샤오미는 스마트폰에 그치지 않고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의 결합 AIoT 시장에서도 두각을 보이고 있습니다. 스마트워치, 스마트TV, 공기청정기, 로봇 청소기 등 다양한 가전제품과 스마트홈 기기들을 활용하여 AIoT 생태계를 꾸려나가고 있는데 무려 9억대 이상의 AIoT기기가 갸오미 생태계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AIoT의 ‘커넥티드 생태계를 구축해 하드웨어 연동성과 브랜드 락인을 강화하는 전략을 시행중입니다.

(2) 전기차 부문

앞서 말씀 드렸듯, 전기차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샤오미는 2024년 고급 세단 SU7 출시하여 예약 대수 10만 대 이상, 4달만에 20만 대 출고 기록을 세웠습니다. 2025년에는 SUV 모델 YU7 출시가 예정되어 있어 또 하나의 돌풍을 일으킬지 주목받고 있습니다. 샤오미는 자체적인 차량 설계부터 OS까지 모두 자체 개발을 통해 전기차 사업을 진행하는 만큼 영업이익률도 빠르게 올라올 것이라 관측되고 있습니다.

 

2024년 역대 최고 실적, AI·R&D 투자 확대

2024년 샤오미는 매출 3,659억 위안( 73.3조 원), 순이익 236억 위안( 4.7조 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조정순이익은 41.3% 증가한 272억 위안( 5.4조원)에 달했다. 우수한 실적을 바탕으로 AI투자와 R&D 투자도 확대 중인데, R&D 투자는 전년 대비 26% 증가, AI 분야는 1 5,0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하며 미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샤오미의 핵심 투자 키포인트 정리

(1) 점점 늘어가는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샤오미의 스마트폰 점유율은 2024년 기준 14%로 출하량 기준 4년 연속 세계 3위를 기록하면서 삼성전자와 애플의 뒤를 잇고 있습니다. 중저가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입지를 바탕으로 프리미엄 시장에서도 프리미엄 모델(샤오미 15 울트라 등) 출시로 시장을 공략 중입니다. 인도, 유럽, 일본 등과 신흥국에서 점유율을 매년 꾸준하게 늘리면서 스마트폰 시장에서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2) 전기차 SU7 흥행, YU7 흥행 기대감

2024 3월 출시된 SU7중국 테슬라 모델S’로 불릴 만큼 완성도 높은 차량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출시 27분 만에 5만 대, 하루 만에 8만 대 예약이 들어오면서 엄청난 흥행을 불러 이르켰습니다. 판매가 기준 약 25만 위안의 가격으로 한화로 약 4~5천만원 수준, 테슬라보다 저렴한 가격을 자랑하며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2025년에 출시 예정인 YU7 SUV모델 역시 출시 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어, 또 한번의 흥행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다각화된 포트폴리오와 AI 기반 전략

[스마트폰-가전(AIoT)-전기차]로 이어지는 [Human x Home x Car] 통합 생태계의 성장 가능성 바탕으로 다각화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와 AI 기반 전략을 열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AIoT, 전기차를 성장의 3대 축으로 삼고, 자체 AI모델 ‘XiaoMi MiLM’, ‘XiaoAI’, AI칩까지 준비 중일만큼 현재의 비즈니스와 미래 비즈니스를 잘 준비해가고 있습니다.

 

2) ‘게임/디지털엔터



차이나 디지털 생태계의 중심, 텐센트 홀딩스

텐센트는 중국 디지털 생태계의 핵심 기업으로 방대한 방대한 플랫폼과 혁신적인 서비스로 글로벌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메신저, 게임, 핀테크, 클라우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국 내외 디지털 라이프를 선도하고 있으며, 특히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는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AI 고도화와 글로벌 확장 전략을 통해 혁신을 지속하며 미래 성장동력으로 집중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와 AI 기술을 결합해 새로운 성장 축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 글로벌 게임 시장의 절대 강자

텐센트는 전 세계 게임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 2024년 기준, 37%의 점유율을 기록 중입니다. 소니(15%), 마이크로소프트(13%) 등 전통적으로 게임 시장에 강한 주요 경쟁사를 압도하는 수치입니다. 대표 게임 ‘Honor of Kings’, ‘PUBG Mobile’ 등은 글로벌 흥행에 성공했으며, 2023년에는 ‘Honor of Kings’ 가 세계 모바일 게임 매출 1위를 기록하는 등 게임 산업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게임 사업은 텐센트 전체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게임 시장의 트렌드를 주도하는 메인플레이어로 자리잡았습니다.


 

텐센트의 사업 구조 및 주요 성장 동력

(1) 부가가치서비스 부문(VAS: 52.9%)

텐센트의 핵심 사업부문으로, 게임과 SNS 플랫폼이 중심을 이루고 있습니다. 모바일 게임 부문은 ‘Honor of Kings’, ‘PUBG Mobile’ 등 다수의 흥행 IP를 보유하고 있으며, 소셜미디어(SNS)로는 ‘WeChat’, ‘QQ’가 있습니다. 위챗은 월간 사용자 수(MAU) 13억 명 이상으로, 중국 내 국민 메신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테크 및 비즈니스 서비스 부문(25.5%)

위챗페이를 중심으로 한 결제 서비스와, 텐센트 클라우드 등의 B2B 솔루션이 해당됩니다. 중국 내 모바일 결제 시장에서 알리페이와 함꼐 양강 체제를 형성 중이고, 클라우드 부문에서는 기업을 대상으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3) 온라인 광고(12.4%)

소셜피드, 비디오, 검색광고 중심의 온라인 광고로, 위챗 플랫폼 내 광고 타겟팅 기능을 고도화하면서 성과 기반 광고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3) 기타 사업

AI 기반 음성·영상 생성, 헬스케어 AI, 산업용 AI 플랫폼 등의 R&D를 진행 중이며, 특히 자체 개발 모델 ‘Hunyuan(混元)’은 멀티모달 대형언어모델로, ‘텐센트 미팅등 생산성 툴과 연계해 상업화 단계에 진입하였습니다.

 

텐센트의 핵심 투자 키포인트 정리

(1) 글로벌 게임 시장 점유율 1위 기업

텐센트는 2023년 기준 글로벌 게임 시장 점유율 18%를 차지하며 소니와 마이크로소프트를 제치고 점유율 1위를 기록하였습니다. Honor of Kings’, ‘PUBG Mobile’은 아시아, 중동, 북미 시장에서 고르게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자체 퍼블리싱 외에도 라이엇게임즈(Riot), 슈퍼셀(Supercell), 에픽게임즈(Epic) 등 지분 보유를 통해 글로벌 게임 IP 생태계를 전략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게이밍 산업의 트렌드를 텐센트가 주도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만큼 게임산업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2) 중국 디지털 생태계의 핵심 플랫폼

텐센트는 중국 최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위챗(WeChat) QQ를 운영하며, 월간 활성 이용자(MAU) 13억 명에 달하고 있습니다. 이 플랫폼들은 단순 메신저를 넘어 결제, 쇼핑, 게임,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의 허브 역할을 한다. 위챗은위챗 페이(WeChat Pay)’를 통해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에서도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기도 합니다. 텐센트의 플랫폼은 중국인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방대한 데이터와 네트워크 효과를 기반으로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시켜 기존 서비스의 생산성과 추천 알고리즘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Tencent Meeting’, ‘WeChat 검색등 다양한 B2B 영역으로 AI를 이식하고 있어, 빠른 수익화가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3) 안정적인 현금흐름 기반의 고마진 구조

2024년 기준, 30% 수준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광고/핀테크 부문에서도 수익성이 지속 개선 중입니다. 플랫폼 중심 사업모델 특성상 고정비 부담이 낮고, 네트워크 효과가 강해 영업 레버리지가 매우 뛰어나기 ?문에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고마진 구조의 비즈니스를 확대해가고 있습니다.


 

중국 디지털 컨텐츠 산업의 소리 없는 강자 넷이즈

넷이즈는 1997년 설립 이후 중국 인터넷 산업의 선구자로 성장해 왔습니다. 종합 인터넷 기업으로 온라인 게임, 음악 스트리밍, 교육, 미디어,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거듭하며, 텐센트에 이어 중국 2위 게임 퍼블리셔이자 글로벌 5위 게임사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북미, 일본, 유럽 등에 게임 스튜디오 및 지사를 설립하여 글로벌 확장을 노리는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안정적 성장을 이어 AI 도입까지

넷이즈는 다양한 게임 포트폴리오와 글로벌 시장에서의 확장을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게임중심의 안정적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교육·음악·스마트 디바이스 등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사업을 통해 비게임 신사업의 성장을 기대해 볼수 있어, 중국 IT 산업의 조용한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또한, AI 기술을 활용한 게임 개발은 향후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선택과 집중 전략, 기술 혁신, 글로벌 신작 확대를 통해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과 시장 영향력 확대가 기대됩니다

 

넷이즈의 사업 구조 및 주요 성장 동력

(1) 게임 및 부가가치 서비스 부문

PC/모바일 게임 개발·운영, 게임 내 아이템 및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전체 매출의 약 79~80%가 해당 부분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모바일 게임과 PC 게임 모두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자체 개발 게임과 라이선스 게임을 통해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대표작으로몽환서유’, ‘5인격’, ‘Eggy Party’, ‘Naraka: Bladepoint’ 등이 있습니다

(2) 교육&음악 및 기타사업 부문

‘Youdao(유다오)’ AI 기반 교육 플랫폼, 온라인 강좌 등 지능형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중국 내 대표적인 교육 IT 브랜드로 성장했습니다. ‘넷이즈 클라우드 뮤직은 중국 2위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2024년 매출 23.1% 성장, 유료 구독자 수 약 4천 만명(2023년 기준) 등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그 외에 자상거래(얀쉬안), 광고, 스마트 디바이스, 미디어 등 다양한 신사업을 전개하며 사업 다각화를 추진히고 있습니다. 해당 부문은 전체 매출의 약 20~21%의 구성하고 넷이즈의 사업 다각화를 실현시켜줄 부문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넷이즈의 핵심 투자 키포인트 정리

(1) 중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

넷이즈는 중국 내수 시장은 물론 북미, 일본,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의 성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 시장에서는 "Knives Out"의 성공을 바탕으로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였으며,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도 현지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현지화된 게임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 다양한 게임 포트폴리오

넷이즈는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보유하고 있어, 특정 장르나 특정 게임에 대한 의존도가 낮습니다. 이러한 포트폴리오는 시장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며,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3) 기술 혁신과 AI 도입

넷이즈는 적극적으로 게임 개발에 AI 기술을 도입하여, 게임의 몰입도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Justice Online Mobile"에서는 AI 기반의 NPC 대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플레이어와의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AI·클라우드 기반의 교육 서비스(유다오), 음악 추천 등 첨단 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사용자의 개인 취향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ETF 개요 ]

-      한화 PLUS 차이나AI테크TOP10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 (종목코드 : 0047N0)

-        투자위험등급 : 2등급 (높은 위험)

-        합성총보수() : 0.49% (집합투자업자 보수 0.439%, 판매회사보수 0.001%, 신탁업자보수 0.025%,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 0.025%)

 

[ 투자 유의사항 ]

-        투자자는 집합투자증권에 대하여 금융상품판매업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투자전 (간이)투자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이 금융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 변동, 환율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한화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 2025-234(2025.05.08~2026.05.07)


검색 키워드

# 차이나# AI# 차이나AI# 텐센트# BYD# 샤오미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 되는 것을 거부 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법적고시

본 웹사이트는 한화자산운용의 독점적 소유의 정보자산입니다.

한화자산운용은 이 웹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자금, 시간 및 노력을 투입하였습니다.
이러한 자산들은 저작권, 상표권, 기술에 대한 정보에만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한화자산운용에 소유권이 있는 정보자산들은 문자, 그림, 음성, 화상, 내려 받기 파일, 링크 및 소스코드들(이하 ‘서비스와 자료들’)의 형태로 제공됩니다. 한화자산운용은 이러한 서비스와 자료들에대한 모든 권리를 소유합니다.

이러한 서비스와 자료들은 오직 한화자산운용의 고객들과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서 제공되었습니다.
한화자산운용은 본 웹사이트에서 고객들께 제공되는 서비스와 자료들에 대하여 고객들에게 지적인 재산권을 부여한 것은 아닙니다.

한화자산운용은 이 웹사이트 및 다른 관련사이트들의 서비스와 자료들 및 정보에 대한 정확도, 완성도, 신뢰도에 대하여 보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한화자산운용에서 문서로 특별히 조언을 드리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를 고객의 이익에 관련된 결정상의 참고자료로 의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서비스와 자료들은 한화자산운용에 의해 사실에 기초하여 제공되었습니다. 그리고 한화자산운용은 서비스나 자료들에 대한 판매 목적상의 무제한 보증이나 특별한 목적하의 맞추어진 적합성을 포함하여 표현되거나 함축된 어떤 또는 모든 보증을 부인합니다.

서비스와 자료들에 관련된 어떤 종류의 직접적, 간접적, 우발적, 징벌적 또는 필연적인 피해에 관련된 경우에 대하여 한화자산운용에서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실시간 지수

실시간 지수 테이블
종목명(기초지수명) 종목코드 지수 등락률(%) 기준일시
PLUS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기업MV
MVIS Global Rare Earth/Strategic Metals
A415920 - - -
PLUS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MV
BlueStar Hydrogen & NextGen Fuel Cell In
A419650 - - -
PLUS 미국단기우량회사채
ICE BOFAML 1-3 YEAR AAA-A US CORPORATE I
A332610 - - -
PLUS 미국장기우량회사채
ICE BOFAML 15+ YEAR AAA-A US CORPORATE I
A332620 - - -
PLUS iSelect우주항공&UAM
iSelect 우주항공UAM 지수
A421320 - - -
PLUS 미국대체투자Top10MV
BlueStar Top 10 US Listed Alternative Asset Managers Index
A426410 - - -
PLUS TDF2030 액티브 ( Morningstar Korea Lifetime Allocation Moderate 2030 Index) A433850 - - -
PLUS TDF2040 액티브 (Morningstar Korea Lifetime Allocation Moderate 2040 Index) A433860 - - -
PLUS TDF2050 액티브 ( Morningstar Korea Lifetime Allocation Moderate 2050 Index) A433870 - - -
PLUS TDF2060 액티브 ( Morningstar Korea Lifetime Allocation Moderate 2060 Index) A433880 - - -
PLUS 글로벌인공지능산업MV (BlueStar Artificial Intelligence Index) A438210 - - -
PLUS 글로벌D램반도체iSelect (iSelect 글로벌 DRAM반도체 지수) A442580 - - -
PLUS 심천차이넥스트(합성) (ChiNext Index) A256450 - - -
PLUS 미국테크10레버리지iSelect (iSelect 미국 Tech 10 지수(원화환산)) A461910 - - -
PLUS 미국채30년액티브(ICE U.S. Treasury 20+ Year Bond Index) A464470 - - -
PLUS 일본반도체소부장Solactive (Solactive Japan Semiconductor Materials and Equipment Index) A464920 - - -

유의사항

  • 제공해드리는 정보는 투자 참고 사항이며, 오류가 발생하거나 지연될 수 있습니다.
  • 웹사이트에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설정, 환매 시 필요한 PDF정보는 AP를 통하여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